-
남자 키 160cm 적정 몸무게와 이상적인 몸무게, 비만과 저체중 알아보기남자 키 적정 몸무게 BMI 2024. 1. 28. 14:41728x90
남자 키 160cm 적정 몸무게는 몇일까?
대한민국 남자의 키가 160cm인 경우의 적정 몸무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남자의 적당한 몸무게는 골격이나 체질, 근육량 혹은 체지방률에 따라 다양하게 고려 될 수 있겠으나, 보편적으로는 총 3가지의 기준 즉, 표준 체중과 권장 체중 그리고 미용 체중으로 적정 몸무게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남성의 적정 몸무게를 위한 식단조절 남자 키 160cm는 얼마나 큰 키일까?
적정 몸무게를 판단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키(신장)입니다. 남성의 키 160cm가 얼마나 큰 키인지 알기 위해서는 먼저 평균 키를 알아야 합니다.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KOSIS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체 남성 평균 키는 171.38cm이며, 10대부터 40대까지의 남성 평균 키는 약 174cm(173.77cm~175.22cm)로 비슷하나 60대 이후로는 170cm가 채 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남자의 키가 160cm인 경우, 평균 키 보다 훨씬 작은 키입니다.
평균 키 평균 체중 171.38 cm 75.55 kg 남자 키 160cm 기준 의학적 권장 몸무게는 몇일까?
삼성서울병원에서 발표한 성별과 키에 따른 건강한 몸무게 자료에 따르면, 키 170cm 남성의 몸무게는 59kg~68kg 사이가 좋다고 합니다. 해당 기준으로 키 160cm 남성의 건강한 몸무게 범위는 51kg~61kg 정도가 됩니다. 해당 범위의 중간값은 56kg이므로, 남성 키 160cm인 경우에 의학적으로 권장하는 건강한 몸무게는 약 56kg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남자 키 160cm인 경우에 몇 kg부터 비만일까?
사람의 몸무게와 신장(키)을 가지고 비만과 저체중을 구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BMI로 잘 알려진 체질량지수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BMI 자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루는 것으로 하고, 남성의 키 160cm인 경우에 몸무게가 58.6kg이 넘으면 과체중, 63.7kg이 넘는다면 비만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남성 스트레스의 주범 비만 남자 키 160cm인 경우에 몇 kg부터 저체중일까?
키가 160cm인 남성이 저체중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몸무게가 47kg 수준이 되어야합니다. 키가 160cm인 남성은 체중이 47.1kg 밑으로 내려갈 때부터 저체중으로 판단됩니다.
남자 키 160cm, 비만일 때 필요한 운동은?
앞서 알아본 것처럼, 키가 160cm인 남성이 63.7kg 이 넘는 몸무게를 가졌다면 비만으로 분류되므로 당장 체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비만(Obesity)이란 단순 과체중(Overweight)과 다르게 각종 성인병 계통 질환에 취약합니다. 비만과 관련 있는 대표적인 질병은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대사증후군 등입니다. 증상이 체감되지 않더라도 비만을 방치하는 건 굉장히 위험한 일이므로 식단 조절과 함께 달리기나 싸이클 등의 유산소 운동을 병행해야 합니다.
비만도 줄이는 다이어트 목적 간편한 운동 기구 추천
↗ 가만히 앉아있어도 칼로리가 소모되는 자동 스텝퍼 기구
↗ 초급자부터 상급자까지 다이렉트! 무게조절 덤벨 바벨 세트
↗ 내 몸 상태 제대로 알아보는 더블 스마트 인바디 체중계남자 키 160cm, 저체중일 때 필요한 조치는?
저체중 또한 비만만큼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키가 160cm인 남성이 47.1kg 미만의 몸무게를 가졌다면 적당량 체중을 증량하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저체중 또한 골밀도 감소로 인한 골다공증, 근육 감소증, 감염성 질환 위험(면역력 부족)에 대해 경계하고 미리 대처해야 합니다.
남자 키 160cm일 때 가장 보기 좋은 몸무게 몇 kg일까?
가장 보기 좋은 몸무게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보기 좋은 몸무게란 보통 예뻐 보이는 몸무게, 가장 옷발이 잘 받는 체중, 미용 체중 등이라는 말로도 많이 표현됩니다. 여기서는 미용 체중이라는 단어로 통일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실 미용 체중은 어떤 의학적, 논리적 근거로 정의되는 단어는 아닙니다. 설명하는 사람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저체중과 정상의 경계 혹은 저체중 범위에 있는 체중이라거나 키(m) × 키(m) × 19와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는 등 다양한 이론이 있습니다.
공통된 의견은 결국 저체중과 정상의 경계에 있는 몸무게가 장 옷발도 잘 받고, 보기에도 예쁜 미용 체중이라는 것인데요. 그러한 계산이라면 키가 160cm인 남성의 미용 체중은 약 48.6kg이고, 이는 의학적으로 권장하는 건강 체중보다 약 7.4kg 적은 값입니다.
그러나 남성은 여성과 다르게 특히 근육량이 중요한데요. 남성은 체지방율, 근육량 혹은 복부둘레에 따라서 ‘보기 좋음’ 의 기준이 확연하게 달라집니다. 따라서 남성의 미용 체중은 단순하게 숫자로 판단할 수 없다는 게 널리 알려진 인식입니다.
다이어트 보조제 남자 체질량지수 BMI 계산 방법
BMI 지수로 많이 알려진 체질량지수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BMI는 키 대비 적절한 몸무게를 알아보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IBW와 다르게 성별에 따른 계산식 구분이 없습니다.
BMI (Body Mass Index) 란?
BMI는 Body Mass Index의 약자입니다. BMI는 인체의 체지방량과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이미 증명되었습니다. BMI는 1990년대 초반부터 비만 관련 지표로 사용해 왔는데요. 세계보건기구(WHO)의 비만 진단 기준에서는 BMI 30 이상을 비만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한비만학회에서 사용하는 아시아-태평양 비만 진단 기준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BMI 지수 계산식
BMI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으로 나누면 됩니다.
체중(kg) ÷ {신장(m) × 신장(m)}
※ 예시 : 신장 160cm, 체중 47.1kg인 경우 ⇒ BMI : 47.1 / 1.60 × 1.60 = 18.4
적정한 BMI 지수는?
체질량지수는 근육량이나 유전적 변수 혹은 개인적인 차이를 일일이 반영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적정한 BMI 지수를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 및 유지하는 것이 가장 쉽고 간편합니다.
정상체중의 체질량지수는 18.5~23 입니다. 따라서 키가 160cm인 남성은 47.4kg~58.6kg 정도의 몸무게를 유지하면 적정한 BMI 지수를 유지하는 셈입니다.
체질량지수 분류표
BMI 지수 판정 결과 18.5 미만 저체중 18.5 ~ 23 미만 정상 23 ~ 25 미만 위험 (과체중) 25 ~ 30 미만 1단계 비만 30 ~ 40 미만 2단계 비만 40 이상 3단계 비만 (고도비만) 남자 표준 체중대비 백분율 PIBW 계산 방법
BMI에 비해서는 비교적 덜 알려졌지만, 비만도를 측정하는 또 다른 지표인 PIBW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
PIBW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란?
PIBW는 Percent of Ideal Body Weight의 약자로써 국문으로는 체중 대비 백분율, 상대 체중 법이라는 비만 판정 지표입니다. 현재 나의 체중이 표준 체중과 비교하여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할 수 있는데요. 120%~129%는 경도비만, 130~149%는 중증도비만, 150% 이상은 고도비만으로 분류합니다.
PIBW 계산식
PIBW 를 계산하는 방법은 현재 체중을 표준 체중으로 나눈 후, 곱하기 100을 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백분율)
비만도(%) = 현재 체중 ÷ 표준 체중 × 100
PIBW 표준 체중 계산법
- 남자 표준체중(kg) = 신장(m) × 신장(m) × 22
- 여자 표준체중(kg) = 신장(m) × 신장(m) × 21
예시 : 여성 신장 160cm, 체중 56.1kg인 경우 ⇒ 표준체중 : 1.60 × 1.60 × 21 = 47.1kg, PIBW : 56.1kg / 47.1kg × 100 = 119%
적정한 PIBW 값은?
체중 대비 백분율은 90~109% 값을 정상 체중으로 판정합니다. 따라서 키가 160cm인 남성은 50.7kg~61.4kg 정도의 몸무게를 유지했을 시 적정한 PIBW 값이 산출됩니다.
PIBW는 90% 미만은 저체중, 90% 이상 110% 미만은 정상체중, 110% 이상 120% 미만은 과체중, 120%이 넘으면 비만으로 판정할 수 있는데요. 120%~129%는 경도비만, 130~149%는 중증도비만, 150% 이상은 고도비만으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판정의 기준이 되는 표준 체중은 키 160cm 남성의 경우, 56.3kg로 확인됩니다.
PIBW 비만 판정 기준표
비만도 (PIBW) 판정 결과 <90% 저체중 90~109% 정상 110~119% 과체중 120~129% 경도비만 130~149% 중증도비만 ≥150% 고도비만 복부지방 및 체지방률에 따른 몸무게별 체형
남자는 사춘기가 끝나가며 성장판이 서서히 닫히고, 만 16.5세 무렵 키성장이 끝납니다. 타고난 골격이나 체질은 바꾸기 쉽지 않으므로 키성장이 끝난 후에는 근육량이나 복부지방 등 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체형 관리를 해야합니다. 앞서 3가지 기준으로 이상적인 남자 몸무게, 적정 체중에 대해 알아보았죠. 번외로 체지방률에 따라 달라지는 몸무게별 남성 체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남성 권장 복부둘레
남성 체형 관리에 있어 가장 경계해야 할 것 중 하나는 바로 복부비만입니다. 복부비만이란 복부에 과도한 지방이 쌓인 상태를 말하는데요. 한국인 복부둘레(허리둘레) 기준으로 남자는 35.4인치 즉, 90cm 이상 일 때 복부비만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최소 그 이하로는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체지방률에 따른 남성 체형
"남자가 가장 보기 좋은 몸무게 몇 kg일까?” 단락에서 말씀 드렸듯이 남성은 근육량이나 체지방률과 같은 기준에 따라서 ‘보기 좋음’ 의 기준이 확연하게 달라집니다. 체지방 관리는 체중만 줄인다고 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근육량을 유지하며 지방을 연소시켜야 하는 아주 어려운 문제입니다. 아래는 남성 연령대별 정상 체지방률과 체지방률에 대한 설명입니다.
남성 연령대별 정상 체지방률
연령대 정상 체지방률 만 17세 이하 9% ~ 23% 만 18세 ~ 만 39세 11% ~ 21% 만 40세 ~ 만 59세 12% ~ 22% 만 60세 이상 15% ~ 25% 남성 체지방률에 대한 설명
- 9% 이하 : 일반인이 유지하기는 어려운 체지방률입니다.
- 10% ~ 12% : 말라 보이는 몸이지만, 적당한 근육량이 있다면 괜찮은 맵시가 나는 체지방률입니다.
- 13% ~ 18% : 적절한 식이요법과 꾸준한 운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체지방률입니다. 일반인이 많이 도전하는 지점입니다.
- 19% ~ 24% : 평균적인 체지방률입니다. 의학적으로는 가장 건강하지만, 살이 찌기 쉽습니다.
- 25% ~ 30% : 배가 나오고 통통하다는 느낌을 주는 체지방률입니다.
- 30% 초과 : 뚱뚱해 보이는 느낌을 주며, 건강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체지방률입니다. 체지방 감량을 위한 식이요법을 시작해야 합니다.
전국 연령별 성별 평균 체중 통계는? 대한민국 남자 평균 키와 평균 몸무게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통계청에서 시도별 연령별 성별 평균 체중 분포 현황, 시도별 연령별 성별 평균 신장 분포 현황을 일반과 영유아로 나눈 건강검진 통계를 공개하고 있는데요. 2023년 기준, 가장 최근 통계는 2021년 자료입니다.
사실 적정한 키와 몸무게는 앞서 언급해 드렸듯이 사람마다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평균과 비교하는 것보다는 각자 타고난 체질이나 근육량 혹은 개인 건강 이슈에 따라 관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므로 평균에 대한 정보는 참고로만 봐주시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전국 연령별 남자 평균 키
연령 평균 신장 19세 이하 174.01 cm 20대 174.35 cm 30대 174.65 cm 40대 173.29 cm 50대 170.47 cm 60대 167.82 cm 70대 165.47 cm 80세 이상 163.54 cm 전체 171.38 cm ※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통계 (시도별 연령별 성별 평균 신장 분포 현황 : 일반, 2021)
전국 연령별 남자 평균 체중
연령 평균 체중 19세 ~ 24세 74.1 kg 25세 ~ 29세 76.9 kg 30세 ~ 34세 79 kg 35세 ~ 39세 78.8 kg 40세 ~ 44세 77.6 kg 45세 ~ 49세 75.9 kg 50세 ~ 54세 74.9 kg 55세 ~ 59세 72.2 kg 60세 ~ 64세 70.6 kg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체력측정통계 (성인 남자 체중 변화, 2021)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대한민국 2030 평균 키 여성의 BMI, 권장 몸무게, 미용체중 알아보기
↗ 다이어트 중 술을 마셔야 한다면 어떻게 마시는 게 좋을까?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지만 구매 가격은 동일합니다.
'남자 키 적정 몸무게 BM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 키 162cm 적정 몸무게와 이상적인 몸무게, 비만과 저체중 알아보기 (0) 2024.01.28 남자 키 161cm 적정 몸무게와 이상적인 몸무게, 비만과 저체중 알아보기 (0) 2024.01.28 남자 키 180cm 적정 몸무게와 이상적인 몸무게, 비만과 저체중 알아보기 (1) 2023.10.22 남자 키 179cm 적정 몸무게와 이상적인 몸무게, 비만과 저체중 알아보기 (0) 2023.10.22 남자 키 178cm 적정 몸무게와 이상적인 몸무게, 비만과 저체중 알아보기 (0) 2023.10.22